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한우와 미국산 소고기 비교 가격과 맛의 차이, 구매 비율까지

고기 지식

by pencily 2025. 2. 19. 22:17

본문

반응형

 

한우 등심고기를 맛있게 보이도록 담아놓았다.
한우 등심

 

미국산 소고기의 대한 대한민국 식탁 인심이 바뀌었다.

마트와 정육점에서도 쉽게 구매할 수 있으며 심지어 코스트코와 같은 대형할인마트에서는

굉장히 저렴한 가격에 수입 소고기를 만날 수 있다.

자연스럽게 사람들의 관심과 선호도가 바뀌고 있다는 뜻이다.

그래서 한우와 미국산 소고기의 차이를 제대로 알고 제대로 즐기자.

 

1. 품종

한국은 한우 품종이 대표적이다.

미국산은 앵거스와 헤리퍼드 그리고 홀스타인 등 다양한 품종이 있다. 특히 블랙 앵거스는 등급에서도 따로 표시될 정도로 미국산 고급 대표 품종이다.

 

 

2. 등급 기준

 

한우는 국내의 소고기 등급제를 따르고 있다. 
1++을 최고등급으로 시작하며 1+ ~ 3등급까지 구분하고 있다.

미국산은 프라임(PRIME)이 가장 높고 초이스, 셀렉트, 스탠더드 순으로 등급이 매겨진다.

현재 한국에 수입되는 등급은 셀렉트까지다.

미국산의 프라임은 한우로 치면 1+ 수준으로 보고 있다.

마블링이 좋아 부드럽고 스테이크용으로 구분된다.

 

 

3. 사육 방식

한국은 대부분 협소한 공간에서 기르고 있다.

방목이 아닌 축사에서 사료를 주는 방식이다.

사료는 배합사료를 주로 먹이고 있으며 특정 브랜드는 특수 사료를 활용하여 사육한다.

주목해 볼 것은 성장 호르몬 사용을 엄격하게 금지하고 있다는 점이다.

 

미국은 방목으로 사육한다.

그러나 빠르게 키우기 위해 성장 호르몬과 항생제 사용이 자유롭다.

사료는 초기에는 목초를 먹이다가 일정 성장 후에 곡물 위주의 사료를 먹여,

근내 지방을 풍부하게 키운다.

 

 

4. 맛 / 식감

한우는 우마미라고 하는 감칠맛이 강하며 담백한 것이 특징이다.

근내 지방 조직이 단단하여 씹을수록 고소하며 고기의 향이 진하다.

대부분 마블링이 골고루 퍼져 있어서 구이용을 적합하다.

 

미국산은 버터와 비슷한 풍미가 강하며 육즙이 풍부한 것이 특징이다.

곡물 비육으로 인해 상대적으로 마블링이 풍부하며 따라서 스테이크에 적합하다.

하지만 대부분 과지방이 많아 손질 시 로스가 많다.

 

 

5. 가격

한우는 성장 촉진제를 사용하지 않아 사육 기간이 길다.

그만큼 사료와 관리 비용으로 인해 가격이 높게 형성되어 있다. 

미국산은 대량 생산과 방목 사육 시스템으로 한우보다 훨씬 저렴하다.

특히 가장 선호되는 초이스(choice) 등급은 가성비가 매우 좋다.

 

저렴하게 구매하기 위해서는 코스트코처럼 대형마트에서 진공포장된 원육을 사는 것을 추천한다.

또는 가까운 도매 직거래가 있으면 좋다.

코스트코나 도매 직거래매장은 가장 저렴하고 가장 신선한 상태의 소고기를 구매할 수 있다.

소고기 작업에 대한 지식은 유투브에 널려 있으니 굳이 정육점을 이용할 필요가 없다.

 

 

6. 소비자들의 선호 / 구매 비율

가정에서 구입하는 소고기의 비율은 한우가 압도적으로 높다.

불고기, 육회, 전골 그리고 국물요리 등 한국 전통 요리에 가장 적합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외식업계에서 미국산 소고기 비율은 절대적이다.

심지어 24년도에는 전세계에서 미국산 소고기를 가장 많이 수입하는 나라가 되었다.

식당과 프렌차이즈에서 수입 소고기 특히 미국산은 절대적인 위치를 자리 잡았다.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